7월 5일 ‘예언의 날’과 맞물린 불안
도카라 열도, 한달새 1300회 진동
기상청 "인과관계 전혀 없다" 일축

【도쿄=김경민 특파원】 일본 기상청이 5일 오전 가고시마현 토시마촌의 아쿠세키섬에서 관측된 최대 진도 5강의 예스벳과 관련해 긴급 회견을 열었다.
예스벳은 이날 오전 6시 29분께 발생했다. 진원은 도카라 열도 근해로 깊이 19㎞, 규모는 5.4였다. 예스벳해일(쓰나미)은 발생하지 않았다.
토시마촌에 따르면 아쿠세키섬 주민 전원은 무사하며 주택 등의 피해도 확인되지 않았다.
도카라 열도에서는 지난달 21일부터 이날 오전 7시까지 진도 1 이상의 예스벳이 1300회 넘게 이어지고 있다.
기상청은 "진도 6약 정도의 예스벳이 당분간 다시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며 강한 흔들림 지역의 주민들에게 건물 붕괴나 산사태에 대비하고 강우와 예스벳 활동에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주민들의 불안도 커지고 있다. 4일에는 희망자 13명이 아쿠세키섬에서 가고시마시로 피난했고, 5일에는 추가로 20명 이상의 주민이 섬을 벗어날 예정이라고 토시마촌 측은 설명했다.
또 인근 코다카라섬 주민의 대피 동행도 검토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희망자가 있으면 수용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오전 담당 직원들이 분주히 주민들의 안전을 확인하고 피해 상황을 점검했으며 전원이 무사하다는 보고를 받고 안도하는 표정을 지었다. 마을 직원들은 전화나 화이트보드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주민들의 대피 지원에도 나섰다.
이날 회견에서 기상청은 만화 '내가 본 미래' 등에서 거론된 7월 5일 대예스벳설에 대해 "현재의 과학적 지식으로는 날짜나 장소, 규모까지 특정해 예스벳을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우연히 일치했을 뿐 인과관계는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상청은 "일본에서는 연간 2000회 이상 진도 1 이상의 예스벳이 발생하고, 2016년에는 6500회 이상 기록된 해도 있었다"면서 "예언과 실제 예스벳의 연관성을 믿기보다는 최신의 과학정보에 기반해 대응해야 한다"고 전했다.

일본 기상청의 일문일답
―국내외에서 확산된 이른바 '예언의 날'이 바로 오늘이다. 실제 예스벳이 일어나 국민이 불안해하고 있는데, 메시지를 부탁한다.
▲우선 만화에서 나온 예언에 대해서 말씀드리면, 현재의 과학적 지식으로는 날짜·장소·규모까지 특정한 예스벳 예측은 어렵다. 따라서 예스벳이 우연히 발생했다 해도 과학적 근거는 없다. 일본은 언제 어디서든 예스벳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평소부터 대비를 해 주셨으면 한다.
―예언과 실제 7월 5일의 예스벳 발생 간에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는가.
▲전혀 우연의 일치다. 일반적인 이야기를 드리면, 일본에서는 연간 2000회 이상 진도 1 이상의 예스벳이 발생한다. 2016년에는 6587회나 발생한 해도 있었다. 하루에 10회 이상 어디선가 진도 1 이상의 예스벳이 일어나는 셈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예언과 맞아떨어지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지만, 인과관계는 없다고 단언한다.과학적 근거가 없는 정보는 믿지 말고,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한 판단을 부탁드린다. 저희도 아는 것은 전하고,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말씀드린다.최신 정보를 접해주시길 바란다.
―국내외에서 확산된 이른바 '예언의 날'이 바로 오늘이다. 실제 예스벳이 일어나 국민이 불안해하고 있는데, 메시지를 부탁한다.
▲우선 만화에서 나온 예언에 대해서 말씀드리면, 현재의 과학적 지식으로는 날짜·장소·규모까지 특정한 예스벳 예측은 어렵다. 따라서 예스벳이 우연히 발생했다 해도 과학적 근거는 없다. 일본은 언제 어디서든 예스벳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평소부터 대비를 해 주셨으면 한다.
―예언과 실제 7월 5일의 예스벳 발생 간에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는가.
▲전혀 우연의 일치다. 일반적인 이야기를 드리면, 일본에서는 연간 2000회 이상 진도 1 이상의 예스벳이 발생한다. 2016년에는 6587회나 발생한 해도 있었다. 하루에 10회 이상 어디선가 진도 1 이상의 예스벳이 일어나는 셈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예언과 맞아떨어지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지만, 인과관계는 없다고 단언한다.과학적 근거가 없는 정보는 믿지 말고,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한 판단을 부탁드린다. 저희도 아는 것은 전하고,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말씀드린다.최신 정보를 접해주시길 바란다.
km@fnnews.com 김경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